전체 글 (350) 썸네일형 리스트형 Athens "시체의 창백한 피부 색깔로 된 벽지에 걸린 달력을 나는 보고 있었다. 작년의 달력이었다. 새해가 되었을 때 떼어내지 않았다. 새로운 시작 따위를 할 기력이 없었다. 작년의 달력만큼 쓸모없는 존재가 있을까?"라는 문장군을 미술관에서 떠올렸다. 파르테니스라는 화가의 그림이 너무 마음에 든 나머지, 이미 절반도 지난 2023년도 달력을 단지 그의 도록 형태를 띠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구매한 바로 다음 순간이었다. 스스로를 쓸모없다고 생각하는 저 여성 인물은 얼마 전 회사에서 정리해고를 당했다. 자신의 잘못으로 직업을 잃은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수치심에 허덕인다. 퇴사를(주변 사람들에게는 해고가 아닌 퇴사라고 알려져있다) 계기로 기분을 전환하기 위해 떠난 이국의 수도 아테네에서마저 괴로움에 시달린다. .. Naxos / 용기에 대한 메모 거대한 페리를 타고 낙소스 섬으로 넘어왔다. 낙소스 섬에서는 아기오스 프로코피우스 해변 옆에 숙소를 잡았다. 실제로 사흘 내내 오후에는 바다에만 머물렀다. 염분이 많아 수영을 하지 못하는 나도 둥둥 띄워주는 고마운 물 속에서 용기에 대해 이것저것 사색할 수 있었다. 전장에서 병사들이 쓴 에세이들을 토대로 쓰인 Mystery of Courage (2002)를 읽고 있는데, 덕분에 몇 가지 조건들만을 제시함으로써 용기의 모든 사례를 포괄하는 어떤 정의를 제시하는 일은 무척 어렵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내가 목표로 삼는 작업은 아무래도 용기의 본질을 독단적으로 규정하는 일보다 용기를 발휘하는 주체의 의식을 탐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현상학이 주객 이분법의 해소를 꿈꾸는 것과는 별개로--나는 사실 이 꿈이 실.. Mykonos 구름이 페가수스 모양으로 모였다가 아무런 영웅적인 이야기도 없이 싱겁게 흩어졌다. 나는 그리스의 파티 아일랜드라고도 불리는 미코노스의 호텔 수영장에 있었다. 얼핏 페인트로 칠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하얀 흙으로 만들어진 듯 자연스럽게 보이는, 그러나 오래 들여다보면 인공성이 드러나는 건물 안에서 칵테일을 마시면서. 머리 위로 올리브나무 잎이 오랫동안 깎지 않은 강아지의 머리털처럼 살랑거렸다. 등 뒤로는 바닷바람이 뜨거운 햇살을 중화시키며 부드럽게 불어왔다. 그러니 아무 걱정거리도 없어야 했다. 천국의 형상을 본따 만들어진 휴양 호텔 안이었기 때문이다. 저녁에는 올드 타운에 내려가볼 예정이었다. 이틀 전 나는 다니던 대학의 자퇴 원서를 카페에서 작성하고 카페 옆의 PC방에서 인쇄했다. PC방에서는 아르바이.. John Russon, The Virtues of Agency: A Phenomenlogy of Confidence, Courage, and Creativity John Russon, "The Virtues of Agency: A Phenomenlogy of Confidence, Courage, and Creativity", in: Phenomenology and Virtue Ethics (ed. by Kevin Hermberg & Paul Gyllenhammer), Bloomsbury, 2013. Russon (2013)은 행위자가 행위자이기 위해 마땅히 갖추어야 할 덕목들을 탐사한다. 그는 일차적 자신감, 용기 그리고 창의성을 행위자로 하여금 세계를 유의미하게 변화시킬 수 있게 해주는 덕목들로 설정한다. 이것들은 '좋은' 행위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덕성이 아니라 애초에 행위자가 되기 위해 필요한 형성적인(formative) 덕들이며, 그런 의미에서 일차적이다. Andrei G. Zavaliy, Courage and Cowardice in Ancient Greece Andrei G. Zavaliy, Courage and Cowardice in Ancient Greece, Springer, 2020 당대 그리스인들이 용기와 비겁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탐구하는 역사서이다. (당연스럽게도 당대 그리스인의 일부인)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용기론을 잘 정리하고 있기에 참고했다. 저자에 따르면 플라톤은 ⟪라케스⟫에서 용기의 적용 범위를 전장 밖으로 확장시키고, ⟪프로타고라스⟫에서 용기와 다른 덕들이 서로 단일할 가능성을 탐구함으로써 호메로스의 전통으로부터 멀어진다. 한편 ⟪국가⟫는 용기를 이성과 욕구를 서로 매개시켜주는 덕성으로 설정하는 반면, ⟪법률⟫은 현실적 공동체에서 용기가 어떻게 변질되어 악덕이 될 수 있는지를 역설한다. 그리스의 내전을 거친 뒤로 펼쳐진 아리스토텔레스.. 폴 틸리히, <존재에의 용기> Paul Tillich, The Courage to Be (The Third Edition), Yale University Press, 2014, 모든 강조는 필자. 1950년에 처음 출간된 폴 틸리히의 ⟪존재에의 용기⟫는 용기를 단순히 윤리적인 덕목인 것을 넘어서 존재론적인 개념, 즉 우리의 존재를 규정 짓는 실존적인 조건 가운데 하나로 규정한다. 그에 의하면 용기란 (그 자체로 실존에 속하긴 하지만 스스로의 존재를 승인하는 데 방해가 되는 요인들에도 불구하고) 스스로의 존재를 긍정하는 일(self-affirmation of one's being)이다. 이러한 자기긍정은 ①운명/죽음, ②공허/무의미, ③죄의식/비난에 대한 삼중의 불안에 의해 위협되며, 그들의 극복이 곧 용기에 해당한다. 삼중의 불안은 .. 메모 1 Henry Ossawa Tanner’s The Annunciation surprises the viewer with its unconventionality. Unlike other paintings that depict the same scene, Tanner portrays Mary as neither calm nor preoccupied by faith. Her frightened eyes fixed on Gabriel’s uncanny presence looks rather overwhelmed. The frown on her eyebrows along with the way she nervously bites her lips even reveal the possibility of doubt. No.. 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9권 마르셀 프루스트, 김희영 옮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9권, 민음사, 2020, 모든 강조는 필자. 알베르틴에 대한 마르셀의 사랑은 그녀가 다른 여성 혹은 남성과 성적으로 얽힐까 봐 전전긍긍해 하는 불안에 의해 지탱된다. 그러나 마르셀이 아무리 앙드레와 운전사를 감시자로 말하자면 고용하여 알베르틴에게 보낸다고 할지라도 그녀의 모든 사생활을 파악하고 통제하는 일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저 불안은 말소될 수 없고, 무한히 증강하는 성격을 띠게 된다. "배신의 가능성"으로부터 오는 저 끝없는 불안감으로부터 마르셀은 고통을 경험하지만, 그 고통만이 역설적으로 알베르틴에 대한 그의 애정을 지속시킨다(172). "나는 고뇌를 멈추든가 사랑을 멈추든가 선택해야만 했다. 처음에는 욕망으로 형성된 사랑..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44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