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마뉘엘 레비나스, <윤리와 무한: 필립 네모와의 대화> 발췌
에마뉘엘 레비나스, 김동규 옮김∙해설, ⟪윤리와 무한: 필립 네모와의 대화(Éthique et Infini: Dialogues avec Philippe Nemo)⟫, 도서출판100, 2020. 모든 강조는 나의 것. "나는 모두를 대신할 수 있지만, 아무도 나를 대신할 수는 없습니다.”(115) 레비나스 철학에 대한 그 자신의 친절한 인트로덕션. 겸허하지만 그만큼 강박적이고, 숭고하지만 그만큼 실현 불가능해 보인다. 그럼에도 자체완결적이며 매우 매력적인 세계관임에는 틀림 없다. 1. 성서와 철학 "아마도 사유는 분리, 폭력 장면, 단조로운 시간 가운데 갑자기 생긴 의식처럼, 어떻게 언어 형태로 표현해야 하는지도 모르는 트라우마나 암중모색(tâtonnements[더듬기, 시행착오])으로부터 시작하는 것 같..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서론, §1-8 요약
Martin Heidegger, Sein und Zeit, Max Niemeyer Verlag Tübingen, 1967. (별도의 메모가 없는 한 모든 강조는 나의 것이다.) 참고: Martin Heidegger, trans. by Joan Stambaugh, Being and Time, SUNY press, 2010. & 박찬국,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강독, 그린비, 2014(이하 ⟪강독⟫) 서론: 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의 해설[Exposition] ⟪존재와 시간⟫의 목적은 존재의 의미를 밝히고, 시간을 존재의미 이해의 지평으로서 해석해내는 것[Interpretation]이다. 1장: 존재물음[Seinsfrage]의 필연성, 구조 그리고 우위[Vorrang] §1 존재에 대한 물음을 명시적으로..
<현상학적 정신병리학> 옥스포드 핸드북 일부 요약
G. Stanghellini, M. R. Broome, A. V. Fernandez, P. Fusar-Poli, A. Raballo, R. Rosfort (ed.), The Oxford Handbook of Phenomenological Psychopat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12장 현상학에 대한 비평과 받아들임 - 데리다, 푸코, 들뢰즈(Federico Leoni) 데리다, 푸코, 들뢰즈는 공통적으로 순수 주관의 불가능성, 곧 "초월론적인 것의 불순성"을 내세워 후설을 비판한 바 있다(88). 우선 데리다는 후설의 현상학을 가능케 하는 인간적 경험의 생동하는 현전도, 그에 대한 직접적(first-hand), 즉각적 기술도 불가능하다고 지적한다. "생동하는 ..
루돌프 베르넷, <현상학적 환원과 주체의 이중적 삶> 요약
T. Kiesel & J. van Buren (ed.), Reading Heidegger from the Start - Essays in His Earliest Though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4, pp.245-267 14장 현상학적 환원과 주체의 이중적 삶 (Rudolf Bernet, Trans. by François Renaud) '현상학적 환원은 대체 무엇을 드러내주는가?'라는 질문에 현상학자들은 상이한 반응을 보여왔다(245). 후설은 초월론적 주관과 세계 사이의 구성적 상관관계를, 하이데거는 [인간적] 현존재의 실존에서 마주치는 존재를(e.g. 도구존재), 장-뤽 마리옹은 어떤 호소, 요구, 부름의 소여(givenness[donation])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