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154)
에드문트 후설, ⟪프롤레고메나⟫ 서론, 1장 요약 Prolegomena to Pure Logic Edmund Husserl, Trans. by J. N. Findlay, Logical Investigations Volume 1, Routledge, 2001, pp. 9-161, 모든 강조는 필자의 것, 모든 이탤릭체는 원문. 정적 현상학에서는 메타바시스가, ⟪기하학의 기원⟫으로 대표되는 발생적 현상학에서는 근원적 명증을 재활성화할 수 있는 능력의 상실이 문제시된다. 문제 제기의 대상이 메타바시스든, 상실의 위기이든지 간에 학문이 스스로의 진정한 목적, 가치, 규범을 잘못 알고 있다는 주장의 뼈대는 그대로다. 다만 그 무지의 양상이 착각이냐, 망각이냐의 문제다. 발생적 현상학은 지식의 참됨과 타당성의 가능조건을 따짐에 있어 역사(적 아프리오리)의 차원을 ..
2024년 2월의 독서 1. Van Hooft, Stan. (2006). Understanding Virtue Ethics, Routledge. 덕 윤리를 의무론과 스무 가지 정도 되는 기준에 의거해 대비시키는 1장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를 요약한 2장을 읽었다. 학부생도 무리 없이 읽을 수 있도록 쉽게 쓰여있고 내용도 실하다. 다만 인용이 그다지 철저하지 못해 아쉬웠다. 2. Crisp R. & Slote M. (Ed). (1997). Virtue Ethics, Oxford University Press. 보석 같은 논문들만 들어간 책이다. Anscombe과 Stocker의 글을 골라 읽었다. 인트로덕션에는 얼마 전 읽은 ⟪선의 군림⟫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었다. '칸트적 자유의지관은 외부적 권위를 인정하지 않고 자기..
후설과 머독에 대한 메모 명증에 기반한 후설의 행복론이 현실(reality)의 직시를 중시하는 머독의 윤리학과 상통하는 부분이 많다고 생각하던 중 그래도 두 철학 사이의 차이들에 대해서 역시 민감해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부유하는 생각들을 언젠가 체계적인 글로 옮겨 투고하고 싶다. 우선 이번 학기에 제출할 페이퍼에 각주로 넣어볼 수 있을 것 같다. '[]' 속의 언명은 나의 해석이 짙게 들어간 부분들. ① 후설에게 윤리적 쇄신(renewal, Erneuerung)을 담당하는 기관은 의지, 구체적으로 말해 자신이 절대적으로 가치있다고 생각하는 바를 일관적으로 따르고자 자유롭게 스스로를 규정하는 의지이다(see Cavallaro & Heffernan 2019:365). 반면 ⟪선의 군림⟫ 속 머독에게 의지, 더욱이 자유로운 의지란 [..
Anthony Steinbock, Moral Emotions : reclaiming the evidence of the heart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최근에 읽은 것들에 대한 기록 이 도시에는 허구한 날 비가 내린다. 테라스에 나가 하늘을 가득 메우고 있는 구름 사이로 햇살을, 적어도 그것의 흔적이라도 찾아보려고 고개를 들면 머지않아 빗방울이 내 콧등을 때린다. 약하지만 끈덕지게 이어지는 빗줄기야말로 이 도시의 상징이다. 모두가 사진기를 꺼내게 만드는 고딕 양식의 오래된 시청 건물은 사실 지나치게 아름다워서 이 도시의 음습한 기운을 진실되게 반영하지 못한다. 도처의 음기를 겨우 상쇄시켜주고 있는 것은 대학생들의 다채로운 옷차림과 특히 밤거리에 은근하게 퍼져있곤 하는 담배 냄새, 돌길에 떨어져 깨진 초록색 맥주병, 카페로부터 새나오는 묘령의 여자의 웃음소리 정도다. 하지만 단 하루, 모두가 새까맣게만 입고 금연, 금주를 하고 웃음을 삼가도 좋으니 햇빛이 났으면 좋겠다. 해가 보고 싶..
Stefano Micali, Phenomenology of Anxiety Micali, Stefano. (2022). Phenomenology of Anxiety, Springer. '다성학(polyphony)'의 방법론으로써 정신분석과 현상학, 문학 등 다양한 영감의 원천으로부터 불안의 특질(trait)들을 분석하는 책이다. 미래의 자아의 자율성을 주장한 사르트르에 반대해 불안 가운데서 과연 미래의 자아가 그만큼 견고한 것인지 물었던 2장의 비판이 특히 인상 깊었다. 5장에서는 불안에 대한 저자 자신의 현상학적 분석을 심화시키는데, 불안이란 자기의 타자화 가능성에 대한 불안일 수 있다는 통찰이 빛난다. 저자에 따르면 "불안은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변화에 대한 집착을 가리키며 그러므로 [우리가] 급진적인 변화를 겪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포함한다. 우리는 이 (열린) 미래 속..
Douglas N. Walton, Courage, a philosophical investigation Douglas N. Walton, Courage, a philosophical investigation, University of Califoria Press, 1986. Walton (1986)에게 용기에 대한 정의는 ⓐ실천적 추론(practical reasoning)의 기반(matrix)과 ⓑ윤리학적 기반으로 나뉜다. 용기는 행위자 a가 ⓐB를 [결과로] 가져오기 위해(bring about) 행위 A가 필수불가결하다고 정당하게 생각하여(consider=justifiably believe), 그러지 않을 수 있었는데도 A를 실천하는 가운데 ⓑB를 가치 있는 것으로 그리고 A를 매우 위험하거나 어려운 것으로 정당하게 생각할 때 발생한다(see p. 86 for a fuller definition). 용기..
Emanuele Caminada, Beyond intersubjectivism: common mind and the multipolar structure of sociality after Husserl 요약 Emanuele Caminada, Beyond intersubjectivism: common mind and the multipolar structure of sociality after Husserl, Continental Philosophy Review (2023) 56:379-400. "The common mind is the plural substrate of habits that are tracked through the common, persistent habits of the groups members, transmitted in their customs, and inscribed in their objectifications [...]"(398) 사회성을 둘 혹은 다수의 주관 사이의 만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