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0) 썸네일형 리스트형 안윤, <남겨진 이름들> 안윤, ⟪남겨진 이름들⟫, 문학동네, 2022. 인물과 세상을 바라보는 시선이 너무나 따뜻해서 작가를 동경하게 되는 소설들이 있다. ⟪남겨진 이름들⟫은 아주 느린 속도로 한 간호사의 삶, 그녀가 간병하는 여자의 삶, 그리고 그 여자의 남편의 삶을 응시한다. 그 셋은 희망의 달인들이다. 주어진 삶의 과제들에 묵묵히 응하고, 햇살과 과일 그리고 주변인의 온기로부터 그 어떤 쾌락과도 비교할 수 없이 값진 행복을 찾아낸다. 좋은 삶이란 절망을 피해가는 데 성공한 삶이기보다 절망 앞에서 포기하지 않는 삶임을 아주 조용하게, 그러나 절실하게 주장하고, 또 읽는 이에게 설득해내는 데 성공한다. 허수경,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에서> 허수경,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에서⟫, 문학과지성사, 2016. 슬픔을 쏟아내기에 바쁜 시들, 한없이 우울한 귀결로 치닫는 시들을 좋아하지 않는다. 아무 희망도 없는 새드 엔딩은 아무리 사실적으로 보일지언정 놀랍게도 비현실적이고, 그렇기에 무책임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추천 받거나 선물 받았던 시집들 몇 권에 대해, 그것들이 매우 인기있는 시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좋지 않은 평을 남겼었다. 그런데 허수경의 시들은 슬프고 우울한데도 불구하고 나를 사로잡았다. 시어들이 평이하되 아름답게 조합되어 있어서였을까? 운율 덕분이었을까? 곰곰 생각해 보았는데, 아무래도 그녀의 시 속 애수는 자폐적인 것이 아니라 타인으로부터 와서 타인에게로 흘러가기 때문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허수경 시의 화자들은 자신.. 배수아, ⟪올빼미의 없음⟫ 중 '올빼미' 배수아, ⟪올빼미의 없음⟫, 창비, 2010, 모든 강조는 필자의 것. 완벽하게 혼자가 되었다면 더더욱 처절하게 타인의 존재를 갈구하고 외로움에 몸부림칠 법한데도 '날 찾아올 필요가 없어요'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의 강인함이란, 내가 이번 생에서 모방이나 할 수 있는 성격의 것일까. "일년에 한 번 정도 날 찾아와요. 당신을 위해서, 그리고 나를 위해서. 매년 이맘때 이 도시를 방문해서 이 집의 문앞에 적힌 내 이름을 읽어줘요. 내 이름이 있으면, 나는 여기 살고 있는 거니깐. 그러면 망설일 필요 없이 문을 열고 들어와 가방을 내려놓고 여기서 한두 주일 지내요. 내게는 낡은 타이프라이터가 한 대 더 있으니 그걸 사용해서 내 방에서 번역 일을 해도 좋아요. 이 집 부엌은 비좁긴 하지만 간단한 아침식사나 수.. 발터 비멜, <위기라는 주제의식의 범위 내에서 독사와 에피스테메의 의미에 관해> 요약 Walter Biemel, "Zur Bedeutung von Doxa und Episteme im Umkreis der Krisis-Thematik" in: Elisabeth Ströker (hrsg.), Lebenswelt und Wissenschaft in der Philosophie Edmund Husserls, Frankfurt am Main : Klostermann, 1979, pp. 10-22, 모든 강조는 필자의 것. - 에피스테메와 독사의 의미는 고대 이래로 이미 자명하지 않은가? 나아가 엄밀학으로서의 현상학이 독사와 관계하는mit sich abgeben 것이 그것의 근본적인 의도에 위반되지 않는가? - 그러나 후설은 비엔나 강연에서 유럽의 위기의 원인Ursache을 따지면서, 유럽적 정신.. 토마스 아퀴나스, <신학대전> 2부 2장 3문, 4문 1-4절 Summa Theologiae II-II q. 3, q. 4 a. 1-4(원문의 역서로는 St. Thomas Aquinas, trans. by Mark D. Jordan, On Faith,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90을 따랐고, 성서의 번역은 대한성서공회 역, 새한글성경을 따랐다.) 3문: 신앙의 고백에 관하여 3문의 직전까지 아퀴나스는 신앙의 정의와 세부적인 규정들을 주로 그것의 내적인 작용인 지성과 의지의 합작으로서의 믿음을 중심으로 서술해왔다. 그러나 3문에서 아퀴나스는 신앙의 외적 행위에 해당하는 고백confession에 초점을 맞추어 애초에 (i) 고백이 신앙의 행위가 맞는지 그리고 (ii) 고백이 구원을 위해 필수불가결한지를 묻는다. 3문 1절: 고백이 신.. 20230606 나의 첫 번째 필름 Brian Davies, The Thought of Thomas Aquinas Brian Davies, The Thought of Thomas Aquinas, Clarendon Press, 1992. 아퀴나스의 신학을 공부하다 보면 칼뱅의 예정설이나 말브랑슈의 기회원인론처럼 처음에는 기상천외하게만 느껴졌던 이론들이 의외로 굉장히 정합적이며 오히려 신뢰할 만하다는 생각이 들게 된다. 예정설을 예로 들면, 신이 구원될 인간의 경우 그의 구원 여부를 태초부터 예정해두었다는 사실과 삶에서 인간이 쌓는 공로merit로서의 신앙이 구원의 조건이 된다는 사실을 양립시키기 어렵다. 후자가 성립하려면 마치 신앙이 있기 이전에는 구원의 여부가 불투명해야 할 것 같기 때문이다. 차라리 칼뱅처럼 신앙의 유무조차 구원의 예정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말하는 쪽이 깔끔하다. 원인에 대한 논의에서는 제2원.. Eleonore Stump, Aquinas's Account of Freedom 요약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44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