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백야>
표도르 도스토예프스키, 석영중 옮김, ⟪백야⟫, 열린 책들, 2021. '서정적인 도스토예프스키'라는 말은 언뜻 들으면 모순처럼 들린다. 도스토예프스키를 생각하면 누군가는 죽어야 할 것 같고, 음흉해야 할 것 같고, 경기를 일으켜야 할 것 같기 때문이다. 하지만 ⟪백야⟫는 나를 좋아하는 사람과 내가 좋아하는 사람 사이의 갈등이라는 간질거리는 문제를 다루는 러브 스토리다. 그런 동시에 그것은 도스토예프스키표 러브스토리이기 때문에, 어찌 보면 진부한 서사를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격앙된 목소리, 과장된 자세, 불안이 반영된 장황한 말들을 통해 신성한 사랑에 대한 집념을 보여주는 데 성공한다. 자신에게 의지하고 결혼까지 약속했지만, 정말로 사랑하는 사람이 나타나자 키스만을 남기고 떠나버린 나스쩬까를 원망하기..
하설, <아날로그 블루>
하설, ⟪아날로그 블루⟫, 별닻, 2021(독립출판) "그렇기에 소망한다. 몇천 년의 시간이 지나 누군가가 나를 보아 주면 좋겠다고. 평생을 괴로워하다 간신히 남은 내 뼛조각을, 혹은 내 공간을 보고 욕을 해도 좋고 비난해도 좋고 아무 말도 하지 않고 가만히 들여다보아도 좋으니. 그저 오랜 시간이 지나 작은 공간으로 남을 내 부피를 보고, 내 삶이 지고 갔던 몸집 큰 괴로움을 상상해 주었으면 하는 것이다."(112, '고백의 형상') 실제로 만나보기도 전에, 서로가 소설을 쓰고 싶어 하고 쓰고 있다는 사실부터 알았던 우리. 2016년에 처음 인사를 해서 햇수로 7년째 인연을 이어오게 되었네. 그동안 정말 많은 글을 쓰고 고치고, 버리고 응모하고, 어리숙하게나마 책으로 엮기도 해보았다. 이마를 맞대고 합평..
토마스 베른하르트, <모자>
토마스 베른하르트, 김현성 옮김, ⟪모자⟫, 문학과지성사, 2020. "결국 지쳤어, 피로뿐이야, 그리고 시간표에 따라 정시에 출발하는 기차에 대한 공포. 정신적 공포. 그리고 극도의 무자비함, 극도의 무자비함, 하고 형은 말했습니다."(211) 베른하르트의 글을 음미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것은 이미지를 다채롭고 입체적으로 영상화하는 능력이 아니다. 그의 인물들은 개성적인 이목구비나 주의할 만한 눈빛, 특별한 머리 색 등등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들은 다만 후줄근하고 종종 불길하기까지 한 옷차림 속에 지나치게 쉽게 파묻힌 채, 나쁜 공기에 의하여 육체를 용해 당한 상태로 유령처럼 이승에 대한 저주의 말을 퍼부을 뿐이다. 인물의 처지에 공감하면서 함께 웃고 울 수 있는 능력 또한 발휘할 기회가 마땅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