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356)
배수아, <에세이스트의 책상> 배수아, ⟪에세이스트의 책상⟫, 문학동네, 2021. 오늘날의 언어는 더 이상 '야만적'이지 않기 때문에, 즉 개별 단어가 지칭하는 의미의 범위가 지나치게 좁아졌기 때문에 오히려 진정한 소통을 방해하게 되었다. 이제 어떤 언어를 구사할 줄 모른다는 사실은 상황에 따라 누군가를 깔보기에 충분한 이유가 된다. 독일어에 서투른 사람이 독일인뿐인 파티에 간 상황을 상상해보자. 그녀는 자신의 마음에 대해서도, 주위의 환경에 대해서도 정확한 단어를 골라 표현할 수가 없다. 반면 음악은 특수한 언어에 구애되지 않는 매체로, 서로 다른 언어를 구사하는 사람들의 사이도 연결해줄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음악이 지시할 수 있는 의미의 범위는 무한하게 넓다. 따라서 음악에 의한 소통은 언어에 의한 소통과는 정반대의 ..
District of Columbia 4 20220806 워싱턴 D.C.에서 이스탄불로 가는 비행기 안. 지상으로부터 11,277미터나 솟구쳐 있는 데다 언니와도 잠시 헤어진 지금, 눅눅하지만 간이 잘 된 대구 요리를 먹고도 맛에 대해 재잘거릴 사람이 없다. 완벽하게 혼자다. 오직 나의 불안과 나의 기쁨만이 내 곁을 붉고 푸른 정령들처럼 맴돌고 있다. 불현듯 그리운 연구실의 사람들과 그랬던 것처럼 티격태격, 오손도손 하면서. 우선 지금 타고 있는 비행기의 출발 시간이 지연되었기 때문에, 이스탄불에서 코펜하겐으로 가는 비행기를 놓칠 수도 있으리라는 꽤 실질적인 불안. 동시에 두 번째 비행기를 그렇게 놓쳐서 설령 섬머스쿨 첫 날을 결석하게 된다 해도 세상이 무너지는 것은 아니며, 어찌어찌 언니가 있는 호텔에 도착해 함께 잠들 수 있으리란 믿음에서 ..
District of Columbia 3 D.C.의 미술관들에서 느꼈던 바들을 끼적여본다. 더 어렸을 때는 그림으로부터 무언가를 배우거나 이론에 대한 영감을 습득하려고 애썼었다. 생산성에 대한 강박을 무겁게 느꼈던 것 같다. 지금은 그림에 관한 한 거의 확고한 쾌락주의자가 되었다. 가르침을 주기보다는 즐거움을 주는 그림들이 더 좋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기록에 대한 욕망을 느끼는 것을 보면, 무상성의 우위에 대해 완전히 동의하고 있지는 못한 것 같다. D.C.의 심장부에 위치해있는 국립미술관. 건물의 외면은 웅장한 것치고 밋밋하지만 내부가 정말 멋지게 꾸며져있었다. 실내의 중앙정원에서 웨딩 촬영을 하고 있던 커플이 떠오른다. 부디, 마치 미래만이 있는 양 행복하세요. 국립미술관에서 멀지 않았던 허쉬혼 박물관. 내부에 전시된 작품들 중에서는 솔직..
알베르 카뮈, <시지프 신화> 알베르 카뮈, 박언주 옮김, ⟪시지프 신화⟫, 열린 책들, 2020. 번역이 매끄럽다. ⟪시지프 신화⟫를 선물할 일이 있다면 이 판본으로 살 마음이 든다. ⟪시지프 신화⟫의 서사는 단순하다. 먼저 부조리가 정의되고, 부조리를 탐구하기에 적합한 방법론이 제시된다. 방법론을 충실히 이행했을 때 부조리로부터 따라나오는 세 개의 결론들은 네 종의 인간 유형으로써 예증된다. 이들의 삶은 모두 시지프라는 신화적 인물의 이미지 속에서 종합된다. 부조리는 ①세계를 이해하기를 원하는 인간의 열망과, ②이해를 허락하지 않는 세계, ③(앞의 두 항을 비교함으로써 도출되는) 인간이 세계와 화해할 수 없다는 자명한 테제를 거부하는 태도로 이루어진다. 이 "삼위일체"(52)를 있는 그대로 탐구할 수 있게 해주는 유일한 방법은 부..
로날드 브루지나, ⟪제 6데카르트적 성찰⟫ 옮긴이의 말 요약 Ronald Bruzina, "Translator's Introduction" to Eugen Fink's VI. Cartesianische Meditation. Teil I(The Sixth Cartesian Meditations), 1995, Indiana University Press. 후설의 조교로서 핑크가 얼마나 많은 수고를 했고, 의견차 가운데서도 헌신적이었는지 알 수 있는 인트로덕션. 모든 강조는 나의 것이다. 로날드 브루지나에 따르면 1929년 말부터 후설은 같은 해 2월 소르본에서 성사시켰던 강연의 강의록인 ⟪데카르트적 성찰⟫의 근본적인 수정을 결심한다. 본래 ⟪데카르트적 성찰⟫은 독일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출간을 앞둔 채 마지막 퇴고까지 완료된 상태였다. 그러나 자신이 아닌 하이데거를 ..
프리드리히 니체, <안티크리스트> 프리드리히 니체, 박찬국 옮김, ⟪안티크리스트⟫, 아카넷, 2013 "선(Gut)이란 무엇인가? -- 그것은 힘의 감정을, 힘에의 의지를, 힘 자체를 고양시키는 모든 것이다. 악(Schlecht)이란 무엇인가? -- 약함에서 비롯되는 모든 것을 말한다. 행복이란 무엇인가? -- 힘이 증가되고 있다는 느낌, 저항을 초극했다는 느낌을 말한다."(§2, 17) "확신이란 감옥이다. [...] 모든 종류의 확신으로부터의 해방, 자유롭게 볼 수 있는 능력은 강한 힘의 특성이다. [...] 반대로 신앙을 필요로 하고, 어떤 무조건적인 긍정과 필요로 하는 것, [...] [그것은] 약자에 속하는 것이다. [...] 신앙은 어떤 것이든 그 자체가 자기 소멸[Entselbung], 자기 소외의 한 표현이다."(§54, ..
Alexandria / Georgetown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괴로운 일이 생겨 일주일 정도를 누워있다, 굶었다, 미친 듯이 먹다, 웅크리다, 다시 자기만 하면서 지냈다. 하이데거와 면세 담배가 없었더라면 자책을 되풀이하다 제 정신을 유지하지 못했을 것이다. 엄마가 다 같이 나들이를 나가고 싶다고 해서 겨우 힘을 내 집 밖으로 나섰다. 조지 워싱턴의 생가인 마운트 버논에 다녀왔다. 마음은 여전히 편하지 않았지만, 나에게 가족이 있다는 사실을 계속 되새기려고 노력했다. 24시간을 가족들과 꼭 붙어있는 지금, 나의 슬픔은 나만의 슬픔이 아니기에.
한스-게오르그 가다머, <진리와 방법 1> 서론, 1부 1장 1절 요약 한스-게오르그 가다머, 이길우, 이선관, 임호일, 한동원 옮김, ⟪진리와 방법 1⟫ 일부 요약 서론 근대 과학은 인간의 경험과 관련된 인식 및 진리가 자연과학의 모범을 따를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철학의 경험, 예술의 경험 그리고 역사 자체의 경험"과 같이 "과학적 방법론의 지배 영역을 넘어서는 진리의 경험"과 관련해서는 그것의 독특하고 "고유한 정당성"이 추적되어야 한다(10). 구체적으로 역사적 전승에 의거한 이해를 통해 "과학의 방법적 수단으로는 검증될 수 없는 진리가 개현되는 경험 방식들"을 소화해야 하는 것이다(10). 예를 들어 우리는 철학의 고전적 텍스트를 이해함으로써, 과학으로는 깨우칠 수 없는 진리에 가닿는다. 요컨대 가다머는 자연과학과 차별화되는 정신과학만의 인식과 진리의 개념을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