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

(154)
알베르 카뮈, <시지프 신화> 알베르 카뮈, 박언주 옮김, ⟪시지프 신화⟫, 열린 책들, 2020. 번역이 매끄럽다. ⟪시지프 신화⟫를 선물할 일이 있다면 이 판본으로 살 마음이 든다. ⟪시지프 신화⟫의 서사는 단순하다. 먼저 부조리가 정의되고, 부조리를 탐구하기에 적합한 방법론이 제시된다. 방법론을 충실히 이행했을 때 부조리로부터 따라나오는 세 개의 결론들은 네 종의 인간 유형으로써 예증된다. 이들의 삶은 모두 시지프라는 신화적 인물의 이미지 속에서 종합된다. 부조리는 ①세계를 이해하기를 원하는 인간의 열망과, ②이해를 허락하지 않는 세계, ③(앞의 두 항을 비교함으로써 도출되는) 인간이 세계와 화해할 수 없다는 자명한 테제를 거부하는 태도로 이루어진다. 이 "삼위일체"(52)를 있는 그대로 탐구할 수 있게 해주는 유일한 방법은 부..
로날드 브루지나, ⟪제 6데카르트적 성찰⟫ 옮긴이의 말 요약 Ronald Bruzina, "Translator's Introduction" to Eugen Fink's VI. Cartesianische Meditation. Teil I(The Sixth Cartesian Meditations), 1995, Indiana University Press. 후설의 조교로서 핑크가 얼마나 많은 수고를 했고, 의견차 가운데서도 헌신적이었는지 알 수 있는 인트로덕션. 모든 강조는 나의 것이다. 로날드 브루지나에 따르면 1929년 말부터 후설은 같은 해 2월 소르본에서 성사시켰던 강연의 강의록인 ⟪데카르트적 성찰⟫의 근본적인 수정을 결심한다. 본래 ⟪데카르트적 성찰⟫은 독일 독자들을 대상으로 한 출간을 앞둔 채 마지막 퇴고까지 완료된 상태였다. 그러나 자신이 아닌 하이데거를 ..
프리드리히 니체, <안티크리스트> 프리드리히 니체, 박찬국 옮김, ⟪안티크리스트⟫, 아카넷, 2013 "선(Gut)이란 무엇인가? -- 그것은 힘의 감정을, 힘에의 의지를, 힘 자체를 고양시키는 모든 것이다. 악(Schlecht)이란 무엇인가? -- 약함에서 비롯되는 모든 것을 말한다. 행복이란 무엇인가? -- 힘이 증가되고 있다는 느낌, 저항을 초극했다는 느낌을 말한다."(§2, 17) "확신이란 감옥이다. [...] 모든 종류의 확신으로부터의 해방, 자유롭게 볼 수 있는 능력은 강한 힘의 특성이다. [...] 반대로 신앙을 필요로 하고, 어떤 무조건적인 긍정과 필요로 하는 것, [...] [그것은] 약자에 속하는 것이다. [...] 신앙은 어떤 것이든 그 자체가 자기 소멸[Entselbung], 자기 소외의 한 표현이다."(§54, ..
한스-게오르그 가다머, <진리와 방법 1> 서론, 1부 1장 1절 요약 한스-게오르그 가다머, 이길우, 이선관, 임호일, 한동원 옮김, ⟪진리와 방법 1⟫ 일부 요약 서론 근대 과학은 인간의 경험과 관련된 인식 및 진리가 자연과학의 모범을 따를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철학의 경험, 예술의 경험 그리고 역사 자체의 경험"과 같이 "과학적 방법론의 지배 영역을 넘어서는 진리의 경험"과 관련해서는 그것의 독특하고 "고유한 정당성"이 추적되어야 한다(10). 구체적으로 역사적 전승에 의거한 이해를 통해 "과학의 방법적 수단으로는 검증될 수 없는 진리가 개현되는 경험 방식들"을 소화해야 하는 것이다(10). 예를 들어 우리는 철학의 고전적 텍스트를 이해함으로써, 과학으로는 깨우칠 수 없는 진리에 가닿는다. 요컨대 가다머는 자연과학과 차별화되는 정신과학만의 인식과 진리의 개념을 정..
에마뉘엘 레비나스, <탈출에 관해서> 요약 및 비판 에마뉘엘 레비나스, 김동규 옮김, ⟪탈출에 관해서⟫, 지식을만드는지식, 2011, 모든 강조는 필자. 이 책에서 레비나스는 존재의 외부를 사유하는 데 무능했던 서양철학을 비판하면서 존재로부터의 '탈출(évasion)'이란 개념의 가능성을 탐사한다. 존재의 외부를 가리키는 탈출 개념의 근거로 그는 '말레즈(malaise, 불안감)'가 자아를 존재로부터의 탈출로 초대하는 현상을 분석한다. 레비나스에게 말레즈란, 자아로 하여금 그로부터 벗어나고자 노력하게 만들지만 무엇이 그러한 벗어남을 가능하게 해줄지에 대한 앎이 없는 그런 감정이다. 우리가 아무리 (어떤 목표에 봉사하는지 잘 아는 이런저런 대상들을 통해) 욕구를 충족해도, 인간의 조건으로서의 근원적인 말레즈--는 데 대한 절대적인 불만--는 해소되지 않는다..
에마뉘엘 레비나스, <윤리와 무한: 필립 네모와의 대화> 발췌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마르틴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서론, §1-8 요약 Martin Heidegger, Sein und Zeit, Max Niemeyer Verlag Tübingen, 1967. (별도의 메모가 없는 한 모든 강조는 나의 것이다.) 참고: Martin Heidegger, trans. by Joan Stambaugh, Being and Time, SUNY press, 2010. & 박찬국,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강독, 그린비, 2014(이하 ⟪강독⟫) 서론: 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의 해설[Exposition] ⟪존재와 시간⟫의 목적은 존재의 의미를 밝히고, 시간을 존재의미 이해의 지평으로서 해석해내는 것[Interpretation]이다. 1장: 존재물음[Seinsfrage]의 필연성, 구조 그리고 우위[Vorrang] §1 존재에 대한 물음을 명시적으로..
에드문트 후설, <형식 논리학과 초월론적 논리학> 6장 일부 발췌 번역 E. Husserl (Hrsg. von P. Janssen), Formale und Transzendentale Logik: Versuch einer Kritik der logischen Vernunft, Martinus Nijhoff: den Haag, 1974(Hua XVII)의 6. Kapitel. 모든 강조는 필자 6장. 초월론적 현상학과 지향적 심리학. 초월론적 심리학주의의 문제 "가장 먼저 그리고 모든 생각 가능한 것보다 앞에 내가 존재한다. 이러한 '나는 존재한다'는 [...] 내 세계를 위한 지향적 근원근거[Urgrund]이다. 그 세계에서 나는 '객관적' 세계, 나에게 이러한 의미에서 타당한 것으로서 '우리 모두를 위한 세계'조차 '나의' 세계라는 것을 간과해선 안 된다."(Hua XV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