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현상학 (67) 썸네일형 리스트형 Loidolt, Sophie, A Phenomenological Ethics of the Absolute Ought: Investigating Husserl’s Unpublished Ethical Writings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James Dodd, Inner Life and Transcendental Philosophy in Husserl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Chad Kidd, The Skeptical Origins of Husserl’s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Lillian Alweiss, Beyond Existence and Non-Existenc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리차드 팔머, <해석학이란 무엇인가> 1부 1장, 2장 발췌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무엇을 공부하고 싶은지 가제: Interpretations- und Gewissheitsbegriff bei Husserl: zu einer Phänomenologie des Selbstausdrucks(후설에게서 해석과 확실성의 개념: 자기표현의 현상학을 향해) 현상학의 핵심 개념으로서의 확실성 현상학이 탐구하는 질문을 한 마디로 정리하면 ‘자아의 의식적 삶과 세계는 어떤 관계를 맺는가?’라고 생각합니다. 이 질문에 대답할 수 있게 해주는 현상학적 개념 중 하나는 확실성입니다. 자아는 세계 및 자신과 세계 사이의 관계에 관한 진리에 접근할 수 있을 때 확실성을 확보하며, 접근할 수 없을 때 불확실성에 빠집니다. 달리 말해 의식의 내용이 존재의 내용과 일치할 때 자아는 확실성을 소유하며, 의식의 내용이 존재의 내용과 불일치할 .. 김태희, <시간에 대한 현상학적 성찰> 3, 4부 발췌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알렉산더 슈넬, <후설과 하이데거에게서의 현상개념과 현상학적 구축> Alexander Schnell, Phänomenbegriff und Phänomenologische Konstruktion bei Husserl und Heidegger, Studies in Contemporary Phenomenology, 2012, Vol.6, p.43-54. 모든 강조는 필자. 후설과 하이데거에게서의 현상개념과 현상학적 구축[Konstruktion] 슈넬의 본 연구는 현상학의 근본개념인 현상에 대해 탐구한다. 현상학은 후설과 하이데거 모두에게 초월론적 철학의 일종인 초월론적 관념론이다. 이에 세 가지 질문이 잇따른다. "1. 초월론적 관념론으로서의 현상학은 어디에 존립하는가[Worin besteht]? 2. 초월론적 관념론으로서의 현상학과 다른 초월론적 관념론은 어디서 차별화되는가.. 이전 1 2 3 4 5 6 ··· 9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