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니 에르펜베크, 배수아 옮김, ⟪모든 저녁이 저물 때⟫, 한길사, 2018
가정법이 지배하는 소설이다. 우리가 살 수 있었던 모든 삶들, 바랄 수 있었던 모든 사랑들, 행할 수 있었던 모든 정치들을 현실세계와 가능세계의 교차를 통해 형상화한다. 문학의 형태를 입음으로써 이야기는 현실성과 가능성 사이의 위계를 해체시키고, 둘을 궁극적으로는 분별 불가능한 것으로 만든다. 그러나 그 모든 가능한/현실적인 실존들의 끝은 공통적으로 죽음이다. 사람이 죽지 않는 가능세계는 없다. 사람이 죽지 않는 것이 논리적으로는 가능하지 않냐고 묻는 것은 아주 우스운 일이다.
유대인 혐오, 제1차 세계대전, 볼셰비즘, 독일 통일 등 굵직굵직한 사건들이 등장하기에 진지해질 수밖에 없는 것은 이해한다. 형식적으로 아주 독특하고 미학적인 작품인 것도 알겠다. 그러나 재미까지 곁들여져 있었더라면 조금 더 좋았을 것 같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5: 게르망트 쪽 1 발췌 (0) | 2022.12.02 |
---|---|
알베르 카뮈, <결혼 • 여름> (4) | 2022.10.19 |
레프 톨스토이, <이반 일리치의 죽음> (0) | 2022.09.08 |
데버라 리비, <알고 싶지 않은 것들> / 버지니아 울프, <자기만의 방> (4) | 2022.09.06 |
알라 알아스와니, <시카고> (0) | 2022.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