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후설 데카르트

(2)
에드문트 후설, <유럽 학문의 위기와 초월론적 현상학> 1, 2부 요약 Edmund Husserl, trans. by David Carr, The Crisis of European Sciences and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70 (원문은 Walter Biemel이 편집한 Hua VI).1부 유럽 인류(Humanity[Menschentum])의 급진적 삶의 위기에 대한 표현으로서의 위기§1 그것의 계속되는 성공을 생각했을 때, 정말 학문에 위기가 있는가? 본 강의의 제목에 따라서 만일 학문 일반에 정말로 위기가 찾아왔다면, 그것은 학문의 성격 자체, 전개의 방식 및 방법론 자체가 의문스러워졌음을 가리킬 것이다. 그런데 오늘날 회의주의, 비합리주의, 그리고 신비주의에 굴복한 철학 또는 ..
에드문트 후설, <데카르트적 성찰> 요약 Edmund Husserl, trans. by Dorion Cairns, Cartesian Meditations, Martinus Nijhoff Publishers, The Hague, 1960.서론(§1-2) 철학을 필두로 모든 학문들을 절대적인 기초 위에 정초하고자 했던 데카르트의 성찰은 철학사적으로 주체로의 전회를 추동했다. 기존 학문들의 타당성을 의문시하고, 에고 코기토를 토대로 모든 것을 다시 세우고자 한 그의 시도는 무언가를 새로이 시작하려는 모든 철학자들의 귀감이 된다. 뿐만 아니라 데카르트는 최초로 객관주의가 아닌 초월론적 주관주의(transcendental subjectivism)로서의 철학의 길을 열어주었다. 오늘날[후설 당대]에는 수없이 많은 철학적 작업들이 생산되고 있지만, 그들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