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문트 후설, ⟪프롤레고메나⟫ 서론, 1장 요약
Prolegomena to Pure LogicEdmund Husserl, Trans. by J. N. Findlay, Logical Investigations Volume 1, Routledge, 2001, pp. 9-161, 모든 강조는 필자의 것, 모든 이탤릭체는 원문. 정적 현상학에서는 메타바시스가, ⟪기하학의 기원⟫으로 대표되는 발생적 현상학에서는 근원적 명증을 재활성화할 수 있는 능력의 상실이 문제시된다. 문제 제기의 대상이 메타바시스든, 상실의 위기이든지 간에 학문이 스스로의 진정한 목적, 가치, 규범을 잘못 알고 있다는 주장의 뼈대는 그대로다. 다만 그 무지의 양상이 착각이냐, 망각이냐의 문제다. 발생적 현상학은 지식의 참됨과 타당성의 가능조건을 따짐에 있어 역사(적 아프리오리)의 차원을 고..
루돌프 베르넷, <현상학적 환원과 주체의 이중적 삶> 요약
T. Kiesel & J. van Buren (ed.), Reading Heidegger from the Start - Essays in His Earliest Though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4, pp.245-267 14장 현상학적 환원과 주체의 이중적 삶 (Rudolf Bernet, Trans. by François Renaud) '현상학적 환원은 대체 무엇을 드러내주는가?'라는 질문에 현상학자들은 상이한 반응을 보여왔다(245). 후설은 초월론적 주관과 세계 사이의 구성적 상관관계를, 하이데거는 [인간적] 현존재의 실존에서 마주치는 존재를(e.g. 도구존재), 장-뤽 마리옹은 어떤 호소, 요구, 부름의 소여(givenness[donation])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