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설 이념들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에드문트 후설, <순수 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1권 (Hua III/1)> 3, 4부 요약[개선 요] 3부 순수 현상학의 방법과 문제들에 관하여1장: 방법론적으로 미리 고려해야 할 사항들§63 현상학을 위한 방법론적 고려사항들의 특수한 의미 현상학의 방법론은 다른 학문의 방법론과 달리 탐구 대상의 영역 자체--초월론적 순수 의식--를 파악 가능한 장으로서 열어내야 한다.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것과 초월론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서로 엮여있음에도(interwoven) 불구하고 혼동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현상학은 제일철학으로서 가능한 모든 이성적 비평의 수단을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완벽에 가까운 무전제성과 "자기 자신 속으로의 절대적, 반성적 통찰"을 요구한다. "현상학의 고유한 본질은 그것으로 하여금 자신의 고유한 본질에 대한 가장 완벽한 명석함(clarity)을 실현하도록 요구하며 그.. 에드문트 후설, <순수 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1권 (Hua III/1)> 1, 2부 요약 [개선 요] 1권의 영역본이 최근에 새로 나왔다. 2014년도 최근으로 쳐줄 수 있다면 말이다. 내가 대학 새내기로 일주일에 서너 번씩 술을 퍼마시고 있을 때 미국에서는 누군가 이런 생산적인 작업을 하고 있었구나 싶어 헛헛하다. 아무튼 독일어 독해가 아직 느린 나에게 수준 높은 영역본의 존재는 정말이지 행운이다. 요약을 위해 참고한 판본은 "Edmund Husserl, Translated by Daniel O. Dahlstrom, Ideas for a Pure Phenomenology and Phenomenological Philosophy(First Book: General Introduction to Pure Phenomenology), 2014, Hackett Publishing Company"이다. 이하는 그.. 이전 1 다음